728x90

기존의 제어 시스템을 다룬다고 한다면

 

MATLAB만 생각하고 있었다

 

 

 

그러다가 프로토타이핑 과제 떄문에 자료를 찾던 중 GEKKO라는 라이브러리를 알게되었는데

 

이 개코 라이브러리가 미분 방정식과 동역학 식같은걸 최적화해서 푸는 파이썬라이브러라리라고한다.

 

MATLAB을 쓰자니 불편하고

 

 

PID 제어기 같은걸 해보고 싶은데 파이썬으로 제공한다니 올커니 하고 영상 목록들을 봤는데

 

뭐가 많긴 많더라

 

 

 

 

이 중에서 내가 관심있는건

 

동역학 최적화와 제어를 위한 파이썬

 

제어를 위한 파이썬 플레이 리스트에서 아까본 역 도립진자 시뮬레이션을 찾았다.

 

https://www.youtube.com/playlist?list=PLLBUgWXdTBDhrs5FuoJXni-cIeNYEyxw1

 

 

일단 이걸 얼마만큼 공부해볼지 한번 생각해보자

 

여기보니 아두이노로  PID 기온 제어하는 예제도 있다.

 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DQWE4SKsTQc&list=PLLBUgWXdTBDhrs5FuoJXni-cIeNYEyxw1&index=12&t=0s

300x250
728x90

일단 GEKKO란 라이브러리는 처음 들어보는 거지만

 

아까 본 영상에서 파이썬에서 GEKKO라이브러리로 역 도립진자 시뮬레이션 하는 모습을 봤었다.

 

일단 코드를 가져와서 시뮬레이션 돌려보긴 했는데 결과는 이렇다.

 

 

 

http://apmonitor.com/do/index.php/Main/InvertedPendulum

 

이 자료에서는 역 도립진자시스템을 위한 제어기 모델을 설계하고 있다.

위 시연에서는 y = -1.0에서 y = 0으로 이동을 보여주고 있으며, 다른 변수 v, theta, q는 조종 전이나 조종후나 0이된다.

 

 

여기서는 역 도립진자에 대한 동역학 방정식을 정리하고 코드가 제공되고 있다.

 

# Contributed by Everton Colling
import matplotlib.animation as animation
import numpy as np
from gekko import GEKKO

#Defining a model
m = GEKKO()

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
#Weight of item
m2 = 1
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

#Defining the time, we will go beyond the 6.2s
#to check if the objective was achieved
m.time = np.linspace(0,8,100)
end_loc = int(100.0*6.2/8.0)

#Parameters
m1a = m.Param(value=10)
m2a = m.Param(value=m2)
final = np.zeros(len(m.time))
for i in range(len(m.time)):
    if m.time[i] < 6.2:
        final[i] = 0
    else:
        final[i] = 1
final = m.Param(value=final)

#MV
ua = m.Var(value=0)

#State Variables
theta_a = m.Var(value=0)
qa = m.Var(value=0)
ya = m.Var(value=-1)
va = m.Var(value=0)

#Intermediates
epsilon = m.Intermediate(m2a/(m1a+m2a))

#Defining the State Space Model
m.Equation(ya.dt() == va)
m.Equation(va.dt() == -epsilon*theta_a + ua)
m.Equation(theta_a.dt() == qa)
m.Equation(qa.dt() == theta_a -ua)

#Definine the Objectives
#Make all the state variables be zero at time >= 6.2
m.Obj(final*ya**2)
m.Obj(final*va**2)
m.Obj(final*theta_a**2)
m.Obj(final*qa**2)

m.fix(ya,pos=end_loc,val=0.0)
m.fix(va,pos=end_loc,val=0.0)
m.fix(theta_a,pos=end_loc,val=0.0)
m.fix(qa,pos=end_loc,val=0.0)
#Try to minimize change of MV over all horizon
m.Obj(0.001*ua**2)

m.options.IMODE = 6 #MPC
m.solve() #(disp=False)

#Plotting the results
import matplotlib.pyplot as plt
plt.figure(figsize=(12,10))

plt.subplot(221)
plt.plot(m.time,ua.value,'m',lw=2)
plt.legend([r'$u$'],loc=1)
plt.ylabel('Force')
plt.xlabel('Time')
plt.xlim(m.time[0],m.time[-1])

plt.subplot(222)
plt.plot(m.time,va.value,'g',lw=2)
plt.legend([r'$v$'],loc=1)
plt.ylabel('Velocity')
plt.xlabel('Time')
plt.xlim(m.time[0],m.time[-1])

plt.subplot(223)
plt.plot(m.time,ya.value,'r',lw=2)
plt.legend([r'$y$'],loc=1)
plt.ylabel('Position')
plt.xlabel('Time')
plt.xlim(m.time[0],m.time[-1])

plt.subplot(224)
plt.plot(m.time,theta_a.value,'y',lw=2)
plt.plot(m.time,qa.value,'c',lw=2)
plt.legend([r'$\theta$',r'$q$'],loc=1)
plt.ylabel('Angle')
plt.xlabel('Time')
plt.xlim(m.time[0],m.time[-1])

plt.rcParams['animation.html'] = 'html5'

x1 = ya.value
y1 = np.zeros(len(m.time))

#suppose that l = 1
x2 = 1*np.sin(theta_a.value)+x1
x2b = 1.05*np.sin(theta_a.value)+x1
y2 = 1*np.cos(theta_a.value)-y1
y2b = 1.05*np.cos(theta_a.value)-y1

fig = plt.figure(figsize=(8,6.4))
ax = fig.add_subplot(111,autoscale_on=False,\
                     xlim=(-1.5,0.5),ylim=(-0.4,1.2))
ax.set_xlabel('position')
ax.get_yaxis().set_visible(False)

crane_rail, = ax.plot([-1.5,0.5],[-0.2,-0.2],'k-',lw=4)
start, = ax.plot([-1,-1],[-1.5,1.5],'k:',lw=2)
objective, = ax.plot([0,0],[-0.5,1.5],'k:',lw=2)
mass1, = ax.plot([],[],linestyle='None',marker='s',\
                 markersize=40,markeredgecolor='k',\
                 color='orange',markeredgewidth=2)
mass2, = ax.plot([],[],linestyle='None',marker='o',\
                 markersize=20,markeredgecolor='k',\
                 color='orange',markeredgewidth=2)
line, = ax.plot([],[],'o-',color='orange',lw=4,\
                markersize=6,markeredgecolor='k',\
                markerfacecolor='k')
time_template = 'time = %.1fs'
time_text = ax.text(0.05,0.9,'',transform=ax.transAxes)
start_text = ax.text(-1.06,-0.3,'start',ha='right')
end_text = ax.text(0.06,-0.3,'objective',ha='left')

def init():
    mass1.set_data([],[])
    mass2.set_data([],[])
    line.set_data([],[])
    time_text.set_text('')
    return line, mass1, mass2, time_text

def animate(i):
    mass1.set_data([x1[i]],[y1[i]-0.1])
    mass2.set_data([x2b[i]],[y2b[i]])
    line.set_data([x1[i],x2[i]],[y1[i],y2[i]])
    time_text.set_text(time_template % m.time[i])
    return line, mass1, mass2, time_text

ani_a = animation.FuncAnimation(fig, animate, \
         np.arange(1,len(m.time)), \
         interval=40,blit=False,init_func=init)

# requires ffmpeg to save mp4 file
#  available from https://ffmpeg.zeranoe.com/builds/
#  add ffmpeg.exe to path such as C:\ffmpeg\bin\ in
#  environment variables

#ani_a.save('Pendulum_Control.mp4',fps=30)

plt.show()

코드는 위와 같다.

애니메이션 부분은 그렇다 치더라도 GEKKO가 뭔지 모르는 상태에선 이해하기 힘들듯 하다

 

 

개코의 소개 사이트에 들어왔다.

https://gekko.readthedocs.io/en/latest/overview.html

 

 

 개코는 최대 정수, 미분 대수 방정식을 위한 최적화 소프트웨어로 선형, 이차, 비선형 그리고 최대 정수가 혼합된 프로그래밍 등 많은 범위에서 사용할수 있는 도구로, 실시간 최적화, 동역학 시뮬레이션, 비선형 예측 제어 등 모드를 제공한다고 한다.

 

 

 

 

=> 여기까지 내용을 봐서는 개코는 최적화 연산 도구로 아무래도 우리 예제에선 동역학 식을 만들어서 사용하니 이 라이브러리로 최적 계산을 수행해서 플로팅 시켜준듯하다.

 

 일단 게코 라이브러리는 여기까지만 보자

 

 

 

 

300x250
728x90

1. 코코아팹 - 밸런싱 로봇

 

https://kocoafab.cc/make/view/719

 

PID 제어와 밸런싱 로봇에 대해서 소개하고있고

소스코드도 공개되어있다.

곧 분석해보자

 

 

 

 

 

 

2. 이륜 역진자 로봇의 밸런싱 제어시스템구현

- 기존의 PD 제어기에선 직접 파라미터를 실험하면서 조정했다면, 기존의 실험과 딥러닝 신경망에서 학습한 결과를 비교해보는 내용이다.

http://www.ndsl.kr/ndsl/search/detail/article/articleSearchResultDetail.do?cn=JAKO201211559435983

 

 

 

 

3. 아두이노 PID 제어 튜토리얼

- 아두이노를 이용해서 어떻게 PID제어를 하는지 코드와 설명이 같이되어있다. 나중에 한번 봐야겠다.

https://www.teachmemicro.com/arduino-pid-control-tutorial

 

 

 

4. 밸런싱 로봇 키트 제작 설명

세그웨이 같은 밸런싱 로봇 키트를 조립하고 소스코드에 대한 간단한 설명 제공

http://scipia.co.kr/cms/blog/227

 

SBOT1 아두이노 세그웨이 밸런싱로봇 제작(Feat. MPU6050, PID제어) | 싸이피아SCIPIA

여기서는 세그웨이(Segway)와 같이 두 바퀴로 균형을 유지하여 넘어지지 않는 로봇을 제작합니다. 이 로봇은 Self-balancing robot 또는 평행자동차, 밸런싱로봇, 세그웨이 로봇으로 불리우며 여기서 실

scipia.co.kr

 

 

 

 

 

 

5. 아두이노와 시뮬링크를 이용한 시스템 구현

kr.mathworks.com/videos/arduino-support-in-simulink-117736.html

 

 

 

 

 

6.  아두이노와 매트랩을 이용한 모터 제어

https://kr.mathworks.com/videos/using-matlab-and-arduino-for-motor-control-100737.html

- 아두이노 처럼 모터 실험하는 간단한 내용 크게 도움은 안될듯

 

 

 

 

 

7. 매트랩 시뮬링크를 이용한 DC 모터 제어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25dU_Aq49m4

- 유용해 보이긴하나 수학적 모델링을 한 결과물을 시뮬레이션에 하는데 사용하는데 참고하면 될듯하다

 

 

 

 

 

8. 역 도립진자 프로젝트

http://mercury.hau.ac.kr/sjkwon/Lecture/2010-1%ED%95%99%EA%B8%B0%20%EC%9E%90%EB%8F%99%EC%A0%9C%EC%96%B4%EC%84%A4%EA%B3%84%ED%94%84%EB%A1%9C%EC%A0%9D%ED%8A%B8.pdf

- 이거는 밸런싱 로봇은 아니지만 제어 시스템 설계 과정에 대해서 잘 정리해주고 있어서 많이 도움이 될것같은 마음에 가져왔다

- 이 자료에서는 opengl에서 역도립진자를 시뮬레이션했더라 이걸보고 매트랩이나 opengl 말고 파이썬에서 할수있지않을까해서 찾아봣다.

 

 

 

 

 

9. 상태 공간 모델을 이용한 역 도립진자

- 나는 기존에 제어시스템은 matlab에서만 할수있는건줄 알았으나 opengl을 이용해서 c++로 시뮬레이션 한 글을 보았다. 그러다보니 python에서 할수있지 않을까 고민해보다가 찾은 자료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egPRF5PHwOo&list=UU2GuY-AxnNxIJFAVfEW0QFA&index=3

http://apmonitor.com/do/index.php/Main/InvertedPendulum

소스도 공개해 주고 계시다.

 

진짜 나도 잘하게되면 이런 자료들 실컷 만들어서 뿌려야지

맨날 남의거 주위 공부하기도 좀 그렇다 ..

 

 

 

 

 

10. 균형 잡는 로봇

https://swiz23.github.io/Portfolio/inverted_pen.html

- 당장 내가 하는 프로토타이핑이랑  크게 관련있다고 할수는 없지만 이전에 본 로봇이 공 균형을 잡는게 신기해서 캡처

 

 

 

지금까지 참 정보가 많긴 한데

 

뭐가 내가 워하는 정보고 나한태 알맞을지 참 판단하기 힘들다.....

 

 

 

 

내가 원래 생각했던건 크게 2가지 과정이 될듯했느넫

 

1. 기존의 자료를 가지고 밸런싱 로봇 완성

 

2. 제어공학적 측면에서 구성

 - 수학적 모델링

 - 보드 선도 등 방법으로 적합한 파라미터 구하기

 

자료 조사하다보니

밸런싱 로봇 조립 및 실험, 수학적 모델링 및 파라미터 구하기 뿐만아니라

 

시뮬레이션을 구현해보는 방법도 있겠다

 

 

 

300x250
728x90

300x250
728x90

전선의 종류

- 단선 : 가닥이 1가닥

- 연선 : 여러가닥

 

전선의 굵기

- awg 

- m m^2 : 단면적 넓이

- mm  :길이

 

전서 선태시 유의사항

 일반적인 회로에서 22awg, 0.5mm 0.3m m^2면 충분

- - 모터나 고전력 제품사용 시 굵은걸써야 안전적으로 전력 공급 가능

 

 

단선의 단점

- 브레드 보드에 좋음

- 단단해서 휘다보면 납댐부분이 부서질수 있음 -> 납댐시 단선 쓰면 안됨

 => 만능기판에 사용시 연선을 사용하자

 

 

점퍼 와이어

- 끝에는 핀으로 단선

- 가운데는 연선이 사용

=> 단선과 연선의 혼합

- ex. 암수, 암암, 수수 등의 다양하게 있음

- 단점 : 종류가 다양하지 않음.

=> 프로토타입시 점퍼와이어보다는 단선을 스트리퍼로 직접 잘라 만들어주는게 좋음

 

 

스트리퍼

- 와이어 스트리퍼 : 옆의 숫자는 awg amerage wage gage나 mm

- 자동 스트리퍼 : 굵기 상관없이 자름

 

전선과 케이블

- 전선 여러가닥이 있는경우

= > USB 케이블. 전선(연선)이 USB 2.0 4가닥, 3.0은 15가닥이 있음

 

 

 

analogWrite와 digitalWrite의 차이

- 아두이노를 만지면서 그동안 digitalWrite만 썻지 analogWrite는 거의 쓰질 않았던것 같았는데, analogWrite라는 함수가 있는걸 이제서야 알았다.

- 이름이 analogWrite라고 하니 핀에서 정현파 같은 아날로그 신호가 나오는건지 궁금했었는데 아날로그 신호가 아니라 PWM 신호가 나온다고 하더라.

- 디지털 라이트를쓸때는 해당 핀으로 0, 1만 나온다면

- 아날로그 라이트 할때는 PWM 출력이 나와 LED에서는 밝기 조절이 가능해지더라

 

 

 

300x250
728x90

 

앞으로 계속 내용 추가시켜나가자

 

 

 

 

300x250
728x90

논의사항

 

1. 하고싶은 일

- 공 균형 제어기

- 역 도립진자

- 밸런싱 로봇

- .그리퍼 외 등 ....

 

 

2. 논의 사항

2.1 디자인적 관점

 - 공 균형 제어기 : 게임적인 요소 추가

 

2.2 구현적 관점

2.2.1 공 균형 제어기

 - 할수 있는 부분과 할수 없는 부분 나눠서

  - 의견 : 대부분 만들수 있을탠대 힌지 부분은 힘들것 같음. 사서 사용?

  - 본인 : 전체 다 3d 프린터로 만들 수 있진 않을까.

 

 

3, 앞으로 계획

- 꾸준희 논의하면서 구체화 해나가자

- 교수님의 의견은 개선 사항일 뿐. 내 목표를 중심으로

 

 

300x250
728x90

컨셉잡기

 

 

1. 리서치

- 사용자 및 제품 : 사용자 및 제품 조사/시나리오 구성

- 기술 및 문화 적용 가능 or 개발 가능한가/ 사회 문화적 방향

- 디자인 트렌드 / 시장

 

 

2. 전략

- 타깃 사용자, 문제, 방법

 => 000을 위해/ 문제 123을/ ~~ 와 같이 해결한다.

 

* 문제에 대한 리스트업과 어떻게 해결해냈는가..

* HOW가 명확할때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 명확하게 인식이 가능해짐

 

 

3. 디자인 방법론

- 리서치 : 리빙 디자인 + IT

- 디자이너의 통찰 : 편견에 대한 역발상

* IOT 적인 가치를 더하여 제품 구상

=> 좋은 디자인 = 목적에 부합하는 디자인(러서치 + 통찰)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300x250
728x90

반도체 semi(반) conductor(도체)

- 도체 : 전기가 잘통합

- 절연체 : 전기가 잘 안통함

- 도체와 절연체의 중간

- 열, 빛, 자장 등 영향으로 성질이 크게 바뀌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

=> 방송, 통신 기기, 가전, 로봇 등 모든 전기전자기기에 사용 

=> IT산업의 쌀

 

 

반도체의 주원료

- 초기 : 게르마늄

- 오늘날 : 실리콘

 

 

윌리엄 브래드포드 쇼클리와 반도체

- 전자는 반도체라는 고체 안에 존재

 

 

 

 

 

 

반도체란

1. 원자구조

2. 반도체와 공유결합

3. 진성 반도체와 불순물 반도체

 

 

 

원자의 정의

- 물질의 특성을 갖는 더이상 쪼갤수없는 작은 입자

- 특정수의 전자와 양자 가짐

 

 

 

보어의 원자 모델

- 원자 핵(nucleus)과 전자(electron)으로 구성

- 원자핵은 양성자 potron, 중성자 neutron으로 이루어짐

- 전자는 음-으로 대전된 입자

 

 

 

원자번호와 질량

- 원자번호 tomic number : 전기적 중성인 원자속 전자의 수

- 주기유표 periodic table : 원자 번호와 질량 순으로 배열

- 중성상태 neutral : 모든 원소의 원자는 양자의 수와 동일한 전자 개수를 가짐 => 전기적 중성

 

 

 

전자각 shell

- 원자 내 전자는 핵으로부터 일정한 거리 궤도를 그리며 움직임

- 전자가 돌고있는 궤도.

- 개발적인 전자각은 허용된 에너지 준위에서 한정된 수의 최대 전자를 가짐

- 최외각, 가전자각 : 가장 바깥쪽의 궤도

- 가전자 valence : 최외각 전자를 돌고있는 전자. 더 높은 에너지 준위를 가지는 전자. 핵으로부터 인력이 최소.

           => 화학적 반응, 물질의 구조, 전기적 성질 등에 영향을 미침

 

 

이온화

- 원자가 열 혹은 빛 에너지흡수

- 핵으로부터 이탈(자유전자)  중성 -> +를띄는 양이온

- 새 전자가 원자궤도로 들어오면. 중성 -> 음이온

 

 

 

 

반도체와 공유결합

반도체란?

- 전기가 잘통하는 도체와 통하지 않는 절연체의 중간적 성질을 나타냄

- 순수한 상태에서 부도체와 비슷한 특성

- 불순물 첨가에 의해 전기전도도가 늘어나고, 빛이나 열에너지에 의해 일시적으로 전기전도성을 갖는 물질

- 도체 절연체의 차이를 어떻게 알까 -> 구분은 해당 물체의 에너지 대역의 차이로 알 수 있음

 

 

실리콘 Si의 에너지 대역

 

가전자대

- 전자들이 가질수 있는 가장 높은 에너지 준위

- 원자핵의 영향을 아직 받고 있는 에너지준위

-> 외부 에너지에 의해 핵의 구속을 벗어날 수 있는 에너지 준위

 

전도대

 - 가전자대의 전자가 원자핵의 구속으로부터 이탈하여 이탈하여 자유로워지는데 필요한 에너지 준위

-> 자유 전자가 존재

 

 

 

 

 

절연체, 도체, 반도체 비교

- 절연체 : 에너지간격이 매우큼. 높은 에너지저항. 가전자대에서 전도대로 전자이동이 힘듬(고무, 나무)

- 도체 : 에너지간격이 거의없음. 전도대에 많은 자유전자가 존재. 매우 낮은 에너지저항(구리, 금, 은)

- 반도체 : 에너지간격이 절연체보다 작고 도체보다 큼. 외부 에너지가 없으면 절연체와 같음. 얻으면 전류흐름

 

 

 

실리콘 원자결합

- 4개의 원자로 구성됨

- 진성 반도체 : 불순물이 섞이지 않은 순수 반도체

 * 옥텟 규칙 : 가전자가 8개일때 가장 안정한 상태가 됨

 

 

공유 결합

- 4개의 가전자를 가지는 실리콘 원자는 주위 다른 4개의 실리콘 원자와 가전자 공유하여 결합

- 실질적으로 8개 가전자로 구성되어 화학적으로 안정되게 하는 결합

 

https://gamma0burst.tistory.com/462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반도체에서 어떻게 전류가 흐를까

자유 전자와 정공

- 자유 전자 : 빛, 열 에너지를 얻으면 가전자 에너지가 커져 궤도를 이탈해 자유전자가 됨

- 정공 hole  : 자유전자로 궤도를 이탈하고 남은 빈자리

 

https://depletionregion.tistory.com/121

 

- 재결합 recombination : 궤도를 이탈한 자유전자가 에너지를 읽고, 가전자대의 빈자리로 다시 돌아오는 현상

 

 

자유 전자들의 이동 - 전자 젼류 electron current

- 자유전자와 정공은 반도체에 전류를 흐르게하는 반송자

1. 실리콘 양끝에 전압 인가

2. 자유전자들은 전계에 의해 쉽게 +로 이동

3. 전류가 생성

 

 

정공 전류 hole current 생성

- 정공이있는 가전자 레벨에서 발생

- 약간의 에너지를 얻으면 근처의 정공으로 이동 -> 다른 빈자리를 생성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공유 결합 방법에 따른 반도체의 분류

- 진성 반도체

- 불순물 반도체 : p형 반도체, n형 반도체

 

 

진성 반도체

- 4가 반도체 원자 이외에 다른 원자(불순물)이 없는 상태

- 안전한 공유결합으로 외부 에너지를 얻어도 전도대가 존재하는 자유전자와 가전자대에 존재하는 정공이적음

   => 전도도가 낮다

 

불순물 반도체

- 전도도를 높이기 위해 불순물을 섞어 전자나 정공의 수를 늘린 반도체

- 도핑 doping : 순수 반도체에 불순물을 넣어 반송자(전기를 전도하는 전자와 정공)를 증가시키는 과정

- 정공을 증가시킨 P형 반도체와 자유전자를 증가시킨 N형 반도체가 존재

 

 

 

P형 반도체

- 정공 수를 늘리기 위해 3가 불순물 원자(알루미늄, 붕소) 첨가

- 4가 원자에 3가 원자를 첨가하면, 공유 결합으로 8개 최외각 전자가 필요하나 1개의 빈자리(정공) 생성

- 다수 반송자 majority carrier : 정공

- 소수 반송자 minority carrier : 전자

 

 

 

N형 반도체

- 자유 전자를 늘리기 위해 5가 불순물 원자(비소, 안티몬) 추가

- 4가 원자에 5가 원자를 첨가하여 공유 결합으로 8개 가전자가 사용되나 1개의 여분의 전자(자유전자) 생성

- 다수 반송자 : 전자

- 소수 반송자 : 정공

 

https://m.blog.naver.com/PostView.nhn?blogId=magician_e&logNo=220775928467&proxyReferer=https:%2F%2Fwww.google.com%2F

 

 

 

 

 

 

300x250
728x90

처음 라이노 연습하면서 간단한 사각형 모델 만들기 까지 진행했다

 

 

오늘 배운 것들과 함수들

 

1. 점 연습

2. 선 긋기 (폴리 라인)

3. 곡선그리기 - 제어점 커브와 커브 보간점( shift를 눌럿더니 대각선으로 가지더라)

 

4. 원 그리기

5. 호 그리기

 

 

 

6. 커브 필릿 연결된 두 직선사이 곡선, 떨어진 두 선 사이 곡선을 부드럽게, 비슷한걸로 각지게 만드는 기능도

 

 

 

7. 트림 삐져나온 선 지우기

 

 

8. 조인, 분해 단일 요소들을 합치고 나누기

 

 

9. 서피스 , 선 요소로 평면 만들기

 

10. 상자 높이기, 원뿔 만들기

 

11. 로프트 중심 선들을 뒤덮는 입체

 

 

12. 선형치수 기하학적요소들의 길이 재기

 

13. extrudecrv 선 돌출시키기 -> 3차원화

 

14. filetedge 가장자리(모서리) 다듬기

 

 

15. blendcrv 떨어진 두 선 사이 곡선 넣기.

* 트림으로 이어진 곡선을 떨어트린후 넘어간 부분들을 자름

 

 

 

 

 

-중략 -

16. filetedge - 가장자리 다듬기

17. sweep2 윗 면에서 아래 면을 감싸는 곡면 생성

18. split 선 요소를 특점 점을 기준으로 나눔

=> sweep2에서 선 범위 지정에 활용

19. mirror 기존의 요소를 거울에 비치듯이 복제

 

 

20. 결과물 탄젠트 커브의 경우와 이를 고친후 미러한 결과물

 

 

 

 

 

300x250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