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script type="text/x-mathjax-config">
MathJax.Hub.Config({
tex2jax: {
inlineMath: [ ['$','$'], ["\\(","\\)"] ],
processEscapes: true
}
});
</script>
<script src="https://cdnjs.cloudflare.com/ajax/libs/mathjax/2.7.2/MathJax.js?config=TeX-MML-AM_CHTML"></script>
집합 A, B가 주어질 때
- A, B의 곱 집합 : A x B = {(a, b) | a $\in$ A, b $\in$ B}
- A에서 B로으의 관계 R은 A x B의 한 부분잡합을 의미
=> (a, b) $\in$ R이면, aRb로 표기 / (a, b) $\notin$ R 이면 a$\bar{R}$b로 표기
ex) 철수는 1반, 영희는 2반, 영진은 1반 일때 학생에서 반으로의 관계 R로 표시하면
- R = {(철수, 1반), (영희, 2반), (영진, 1반)} $\subset$ A x B
- 철수R1반, 영희R2반, 영진 R1반, 영진$\bar{R}$2반
집합 A, B가 주어질때
- B = A이면 A에서 A로의 관계 R을 'A에서의 관계'라고도 함
A = {철수, 영희, 짱구}에 대하여
- 철수와 영희는 친구, 출수와 짱구는 친구, 영희와 짱구는 친구라는 관계를 R로 표기하면
- R = {(철수, 영희), (철수, 짱구), (영희, 짱구)}
A = {1, 2, 3, 4}, R = {(a, b) $\in$ A x A | a < b }로 주어지면
- R = {(1, 2), (1,3), (1,4), (2, 3), (2,4), (3, 4)}
- 1R4, 3$\bar{R}$2
A에서 B로의 관계 R이 주어질 때
- A = R의 정의역(domain)
- B = R의 공역(Codomain)
- R의 치역(Range) = {b $\in$ B | (a, b) $\in$ R인 a $\in$ A가 존재}
- R의 치역 $\subset$ R의 공역 = B
예시
- 집합 A = {철수, 영희, 영진}, 집합 B = {1반, 2반, 3반}와 철수는 1반, 영희는 2반, 영진은 1반을 나타내는 관계 R에 대하여
- R의 정의역 = {철수, 영희, 영진} = A
- R의 공역 = {1반, 2반, 3반} = B
- R의 치역 = 1반, 2반
관계의 표현 방법
1. 순서쌍을 이용한 표현
- 관계의 모든 원소를 순서쌍으로 표현
- 집합 A = {1, 2, 3, 4}, 집합 B = {2, 3, 4, 5}, R = {(a, b) $\in$ A x B | a + b는 짝수}
-> R = {(1, 3), (1, 5), (2, 2), (2,4), (3, 3), (3, 5), (4, 2), (4, 4)}
2. 화살표 도표를 이용한 표현
- A에서 B로의 관계 R이 주어졌을 때, 만약 (a, b) $\in$ R이면 a와 b를 화살표로 연결해서 관계를 표현
ex) 집합 A = (1, 2, 3, 4}, B ={2, 3, 4, 5}, R = {(a, b) $\in$ A x B | a + b는 소수}
3. 좌표를 이용한 표현
- A에서 B로의 관계 R이 주어졌을때 A의 원소는 x축, B의 우너소는 y축에 표시
- (a, b) $\in$ R이면 a를 가리키는 축과 b를 가리키는 축이 만나는 점을 좌표에 표시
ex) 집합 A = (1, 2, 3, 4}, B ={2, 3, 4, 5}, R = {(a, b) $\in$ A x B | a + b는 짝수}
- x축에 A의 원소, y축에는 b의 원소
4. 관계 행렬을 이용한 표현
- A, B로 관계 R이 주어질 때 A의 각 원소가 행을 나타내는 것으로, B의 각 원소는 열을 나타내는 것으로 가정
- (a, b) $\in$ R이면 a를 가리키는 행과 b를 가리키는 열이 만나는 원소는 1
- (a, b) $\notin$ R이면 a를 가리키는 행과 b를 가리ㅣ는 열이 만나는 원소는 0
ex) 집합 A = (1, 2, 3, 4}, B ={2, 3, 4, 5}, R = {(a, b) $\in$ A x B | a + b는 짝수}
5. 방향 그래프를 이용한 표현
- 그래프 : 점들과 점 사이를 연결한 선으로 구성된 수학적 개념
- 방향 그래프 : 점 사이를 연결한 선이 화살표인 그래프
방향 그래프를 이용한 표현
- A에서의 관계 R이 주어질 때 A의 각 원소를 점으로 표시하고 (a, b) $\in$ R이면, a를 나타내는 점에서 b를 나타내는 점으로 화살표를 그려서 관계를 표현
ex) 집합 A = {1, 2, 3, 4}, R = {(a, b) $\in$ A x A | a - b $\geq$ 0}
관계의 성질
- 반사성
- 대칭성
- 추이성
반사성의 정의
- 집합 A에서 관계 R이 주어질때, 모든 a $\in$ A에 대해서 (a, a) $\in$ R이면 R이 반사성을 가진다고 하거나 R을 반사 관계라고 함.
ex) A = {1, 2, 3, 4} , R = {(a, b) $\in$ A x A | a - b $\geq$ 0}
- R ={(1, 1), (2, 1), (2, 2), (3, 1), (3, 2), (3, 3), (4, 1), (4, 2), (4, 3), (4, 4)}
-> R은 반사 관계
ex) A = {1, 2, 3, 4}, R = {(a, b) $\in$ A x A | a - b $\gt$ 0}
- R = {(2, 1), (3, 1), (3, 2), (4, 1), (4, 2), (4, 3)}
-> R은 반사 관계가 아님( (1,1) $\notin$ R)
반사 관계의 특징
- R이 반사 관계이면 R의 관계 행렬의 대각 원소는 모두 1
- R이 반사 관계이면 R의 방향 그래프 표현에서 모든점은 루프를 가짐
ex) A = {1, 2, 3, 4}, R = {(a, b) $\in$ A x A | a - b $\geq$ 0}
비반사성
- 집합 A에서 관계 R가 주어질때, 모든 a $\in$ A에 대하여 (a, a) $\notin$ R이면, R이 비반사성을 가진다거나 R을 비반사 관계라고 한다.
ex) A = {1, 2, 3, 4}, R = {(a, b) $\in$ A x A | a- b $\gt$ 0}
- 관계 행렬의 대각 원소가 0, 방향 그래프에서 모든 점은 루프를 가지지 않음 -> 비반사 관계
- R = {(2, 1), (3, 1), (3, 2), (4, 1), (4, 2), (4, 3)}, 비반사 관계
반사 관계와 비반사 관계의 관계
- 반사 관계가 아니면 비반사 관계이다? -> 거짓
- 다음 관계는 반사 관계도 비반사 관계도 아님
대칭성
- 집합 A에서 관계 R이 주어질때 , (a, b) $\in$ R이면 항상 (b, a) $\in$ R을 만족시키면 R이 대칭성을 가진다 하며, R을 대칭 관계라고 함.
ex) A = {1, 2, 3, 4}, R = {(a, b) $\in$ A x A | a + b는 홀수}
- R = {(1, 2), (1, 4), (2, 1), (2, 3), (3, 2), (3, 4), (4, 1), (4, 3)}
-> R은 대칭 관계
ex) A = {1, 2, 3, 4}, R = {(a, b) $\in$ A x A | a - b $\get$ 0}
- R = {(1, 1), (2,1), (2, 2), (3, 1), (3, 2), (3, 3), (4, 1), (4, 2), (4, 3), (4, 4)}
-> (2, 1) $\in$ R, (1, 2) $\notin$ R => R은 대칭 관계가 아님
대칭 관계의 특징
- R의 관계 행렬은 대칭 행렬
- R의 방향 그래프 표현에서 어떤 점 x에서 다른점 y로 가는 연결선이 존재하면 y에서 x로 가는 연결선도 반드시 존재
ex) A = {1, 2, 3, 4}, R = {(a, b) $\in$ A x A | a + b는 홀수}
추이성
- 집합 A에서 관계 R이 주어질때, (a, b) $\in$ R이고, (b, c) $\in$ R이면 항상 (a, c) $\in$ R을 만족 시키면, R은 추이성을 가진다 하고, R을 추이 관계라고 한다
ex) A = {1, 2, 3, 4}, R = {(a, b) $\in$ A x A | a - b $\get$ 0} -> R은 추이관계
- (a, b) $\in$ R -> a - b $\get$ 0
- (b, c) $\in$ R - > b - c $\get$ 0
=> (a, b) $\in$ R, (b, c) $\in$ R -> a - b $\get$ 0, b - c $\get$ 0 -> a -c $\get$ 0 -> (a, c) $\in$ R
ex) A = {1, 2, 3, 4}, R = {(a, b) $\in$ A x A | a + b는 홀수} -> R은 추이 관계가 아님
- (1, 2) $\in$ R이고, (2, 3) $\in$ R이지만 (1, 3) $\notin$ R
'수학 > 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이산 수학 - 15 트리 (0) | 2020.06.08 |
---|---|
이산 수학 - 14 그래프의 활용 (0) | 2020.06.08 |
이산 수학 - 13 그래프 (0) | 2020.06.08 |
이산 수학 - 2 수의 종류 (0) | 2020.06.07 |
이산 수학 - 1 집합 (0) | 2020.06.07 |